1) 신변자립지도
- 미래에 독집적인 생활을 위해 자조적인 독립기반을 육성하기 위해 필수 불가한 과제이다.
- 식사, 배변, 착탈의, 이동 등의 신변생활 관리능력의 전면적인 지원과 지도가 필요하다.
2) 의사소통 지도
- 언어 발달수준 및 형태, 발달 특성을 파악하여 다양한 방법의 의사소통지도를 실시해야 한다.
3) 사회적응훈련
- 아동의 치료적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다양한 관련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.
4) 질 높은 교수의 기본 원칙
- 각 장애 영유아의 특성을 파악한다.
- 의미 있는 학습목표를 선정한다.
- 교육팀 내에서 공유된 기대수준을 수립한다.
- 학습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.
- 효과적인 교수방법을 선택한다.
- 충분하고 일관된 학습기회를 제공한다.
- 데이터에 근거하여 교수적 결정을 내린다.
5) 교수 환경의 수정
- 건물의 구조 개선을 도모한다.
- 휠체어, 목발 사용자의 이동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한다.
- 휠체어에 앉아서 사용이 편리한 교실환경을 만든다.
- 책상과 의자의 높낮이, 위치를 다르게 한다.
6) 교수전략
- 대상물체의 고정: 테잎, 벨크로 흡입판 사용
- 책상의 경계 만들어주기
- 잡기 보조기구의 사용
- 조작을 도와주는 도구의 사용
- 수업방법과 학습과제, 평가 방식 등의 수정
7) 치료적 지원
(1) 물리치료
- 바른 자세와 균형 유지, 변형 방지
- 아동의 독립성 최대한 신장
- 걷기와 같은 대 근육 기능에 대한 평가 및 프로그램 계획
- 머리, 몸통의 조절과 안정성을 확보
- 몸의 정중선을 중심으로 한 대칭적인 움직임을 촉진
- 의학적 처지와 신체적인 관리 -> 초학문적인 팀으로 접근
- 레크리에이션을 통한 근력의 증가, 운동기능의 향상
(2) 언어치료
(3) 약물요법
(4) 수술요법